반응형

전체 글 197

사주의 지지, 미토(未土)에 관하여

미토(未土) 십이지지 중 여덟번째에 해당하는 지지 오행 : 불 음양 : 음(陰) 계절 : 여름 절기 : 7월 7,8일 - 8월 7,8일 시간 : 13:30 - 15:30 물상 : 뜨겁고 마른 땅 해당하는 동물 : 양 지장간 : 기토(己土) 60%, 정화(丁火) 30%, 을목(乙木) 10% 미토의 첫 번째 특징 - 성질이 급하다 사주의 지지 중 흙을 뜻하는 글자는 네 글자다. 진술축미(辰戌丑未). 같은 흙이라도 네 글자의 성질 모두 각각 다르다. 이전의 글에서 축토(丑土)는 꽁꽁 언 땅, 진토(辰土)는 물기를 머금은 축축한 땅이라고 했다. 미토(未土)는 한 여름의 땅이다. 그래서 뜨거운 성질을 품고 있다. 겉으로는 땅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내면은 불의 성정을 갖고 있는 것이 미토다. 불이란 어떤 것인가?..

시집 잘가는 여자들 특징 :: 감정에 앞서지 않는다

시집을 잘갔다는 기준은 누구나 다 다르다. 하지만 객관적으로 봤을 때 시집을 잘간 여자들이 있다. 본인보다 뛰어난 능력, 더 좋은 집안을 가진 남자에게 시집간 여자들을 보고 우린 흔히 ‘시집을 잘 갔다’라고 표현한다. 하이클래스의 남자들에게 시집간 여자들은 단순히 운이 좋은 경우일까? 물론 운도 큰 비중을 차지한다. 내가 아무리 좋은 남자를 만날 준비가 되어도 주변에 좋은 남자가 없으면 그만이니까. 하지만 필자는 취집잘한 여자들이 단순히 운이 좋은 것만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그 여자들은 부단히도 노력했을 것이다. 눈을 높이기 위해서, 아무나 만나지 않기 위해서, 본인의 강점을 잘 파악하기 위해서, 감정에 앞서지 않기 위해서. 이번 글에서는 시집 잘 간 여자들의 특징 중 하나인 감정에 앞서지 않는 부분..

혹자의 연애 2021.12.13

사주의 지지 오화(午火)에 관하여

오화(午火) 십이지지 중 일곱번째에 해당하는 지지 오행 : 불 음양 : 양(陽) 계절 : 여름 절기 : 6월 5,6일 - 7월 5,6일 시간 : 11:30 - 13:30 물상 : 용광로의 센 불 해당하는 동물 : 말 지장간 : 정화(丁火) 37%, 병화(丙火) 33%, 기토(己土) 23.5% 오화의 첫 번째 특징 - 활동적이다 오화는 동물로 치면 말이다. 네 발로 끊임없이 벌판을 뛰어다니는 것이 오화다. 원기왕성한 것이 오화의 장점이지만, 때로는 옆을 돌아보지 않고 앞만보고 달리는 것이 단점이다. 주변을 좀 둘러보고 달릴줄도 알아야한다. 사주에는 역마를 상징하는 글자들이 있다. 인신사해(寅申巳亥), 이 네 글자들은 권력을 상징하기도 하지만 역마를 상징하기도 한다. 오화가 특이한점은 역마를 상징하는 글자가..

사람을 고쳐쓰는 법에 대하여 :: 평강공주 컴플렉스

주변에서 은근히 많이 보이는 여자들의 유형이 있다. 바로 평강공주들이다. 자신들이 바보가 아닌 바보 온달을 만났다고 생각하여 평강공주에게 빙의가 되는 현상이다. 한마디로, 사람을 바꾸려는 것이 아닌 사람을 고쳐서 쓰려는 마인드다. 사실 사람을 고치는 일은 매우 어렵다. 인생일대를 통틀어 손 꼽히는 충격적인 일이 있지 않는이상, 사람은 잘 바뀌지 않는다. 그렇다면 내가 상대방을 너무 사랑하고 있거나, 이미 결혼을 해서 이혼을 하기도 어려운 상황에서도 사람을 고치지 않고 바꾸는 것이 답일까? 필자는 이번 글을 통해 고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알려주려 한다. 사람 고쳐쓰는 법 한 마디로 정의를 해보자면, 그 사람의 성향을 바꿀수는 없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내향적인 사람을 외향적으로, 융통성 없는 사..

혹자의 연애 2021.12.06

사주의 지지 사화(巳火)에 관하여

사화(巳火) 십이지지 중 여섯번째에 해당하는 지지 오행 : 불 음양 : 음(陰) 계절 : 여름 절기 : 5월 5,6일 - 6월 5,6일 시간 : 9:30 - 11:30 물상 : 작은 불 해당하는 동물 : 뱀 지장간 : 병화(丙火) 53%, 무토(戊土) 23.5%, 경금(庚金) 23.5% 사화의 첫 번째 특징 - 성실하고 활동적이다 사화는 시간이나 계절로 보면 한창 활동을 하는 시기다. 지장간도 모두 양으로 구성되어있다. 기본적으로 열정적이고 성실하다. 차분히 본인에게 주어진 일을 잘 한다. 직장에서 빠릿빠릿하게 본인에게 주어진 일을 잘 하는 사람이 사화의 물상이기도 하다. 사주 커뮤니티 >> 포첸 바로가기 fourchen 포첸 :: 국내 최대를 지향하는 운세 커뮤니티(사주, 타로, 신점) www.luck..

을의 연애, 여자가 더 많이 좋아하는 연애 :: 표현을 많이하고 좋아하면 을이 되나요?

필자가 많이 듣는 질문 중 하나는 "어떻게 하면 이 남자가 본인을 더 좋아하게 만들 수 있냐"와 "사랑한다는 표현을 더 많이 하면은 을이 되냐"라는 질문이다. 사랑은 공평하지 않다. 50:50으로 딱 맞춰 떨어지는 것이 아닌 항상 누군가 더 많이 좋아하는 형태로 진행이 된다. 이러한 사랑의 불공평함은 시간이 지날수록 심화된다. 이번 글에서는 을의 연애 중에서도 여자가 더 많이 좋아하는 관계에 대해 소개를 하려한다. 남자가 더 좋아하는건 왜 안하냐고? 사실 남자들은 본인이 더 좋아하든말든 딱히 상관안한다. 본인이 더 좋아한다고해서 매번 사랑을 확인하려 하지도않고, 을의 연애에서 불안감을 느끼지도 않는다. 사주 커뮤니티 >> 포첸 바로가기 fourchen 포첸 :: 국내 최대를 지향하는 운세 커뮤니티(사주,..

혹자의 연애 2021.12.02

사주의 지지 진토(辰土)에 관하여

진토(辰土) 십이지지 중 다섯 번째에 해당하는 지지 오행 : 흙 음양 : 양(陽) 계절 : 봄 절기 : 4월 4,5일(청명) - 5월 5,6일(입하) 시간 : 7:30 - 9:30 물상 : 습하고 비옥한 땅 해당하는 동물 : 용 지장간 : 무토(戊土) 60%, 을목(乙木) 30%, 계수(癸水) 10% 진토의 첫 번째 특징 - 변화무쌍하며 비현실적이다 진토가 나타내는 동물은 용이다. 용은 에너지가 흘러넘치는 상상 속의 동물이다. 진토는 상상속의 동물 답게 이상적인 성향이 강한 동시에, 과시욕 또한 강하다. 좋게 말하면 꿈을 크게 갖는 것이지만 나쁘게 말하면 꿈만 큰 몽상가다. 부풀려서 본인의 뇌피셜을 말하는 것들이 남들 눈에는 허세와 사기로 보일 수 있다. 이상을 추구하는 진토는 변화를 상징하기도 한다. ..

알뜰한, 돈 안쓰는 남자/남친 유형

간혹 필자에게 상담을 하는 중생 중 남자친구가 돈을 쓰지 않는다고 상담을 하는 인간들이 있다. 하지만 이 돈안쓰는 남자도 여러가지 유형이 있는데, 글을 읽어보고 그대들의 남자친구가 어느 유형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길 바란다. 돈 안쓰는 남자 1. 돈이 없어서 못쓰는 놈 주로 가난한 학생, 취준생, 학자금과 같은 빚이 많은 직장인, 집안의 가장인 직장인 등이 여기 해당된다. 결혼의 관점에서 보자면 학생과 취준생이 돈이 없는 것은 괜찮다. 돈이 없는 시기이기 때문에 주머니가 텅텅 빈 것은 당연하다. 사실 금수저가 아니고서야, 어떻게 매번 데이트마다 탑클라우드에서 고기를 썰겠나. 이런 부류의 남자들은 현재는 돈이 없지만, 돈이 생기면 여자친구에게 잘 쓸 가능성이 높다. 아 물론 여자친구에게 쭉 얻어먹다가, 돈이 ..

혹자의 연애 2021.11.30

사주의 지지 묘목(卯木)에 관하여

묘목(卯木) 십이지지 중 네 번째에 해당하는 지지 오행 : 나무 음양 : 음(陰) 계절 : 봄 절기 : 3월 4,5일(경칩) - 4월 5,6일(청명) 시간 : 5:30 - 7:30 물상 : 작은 나무, 풀 해당하는 동물 : 토끼 지장간 : 을목(乙木) 67%, 갑목(甲木) 33% 묘목의 첫 번째 특징 - 활동성이 강하다 묘목의 물상은 땅을 뚫고 나오는 새싹이다. 땅을 뚫고 나와 사방으로 뻗치는 형상이다. 본인의 끼와 재능을 여기저기서 발휘하기 바쁘다. 창의력이 뛰어나며, 창조적인 일을 한다. 동물로 치면 토끼로, 번식력도 뛰어나고 여기저기 뛰어다니기 바쁘다. 생동감있다. 하지만 이러한 것들이 모두 실속이 있지는 않다. 묘목의 형상과 같이 에너지가 분산되기 바쁘다. 공허하다. 한바탕 에너지를 쏟아냈지만, ..

사주의 지지 인목(寅木)에 관하여

인목(寅木) 십이지지 중 세 번째에 해당하는 지지 오행 : 나무 음양 : 양(陽) 계절 : 봄 절기 : 2월 4,5일(입춘) - 3월 5,6일(경칩) 시간 : 3:30 - 5:30 물상 : 큰 나무 해당하는 동물 : 호랑이 지장간 : 갑목(甲木) 53%, 무토(戊土) 23.5%, 병화(丙火) 23.5% 인목의 첫 번째 특징 - 자존심이 세다 인목은 천간의 갑목(甲木)과 성질이 거의 똑같다. 발산하려는 힘이 강하고 뻣뻣하고 자존심이 세다. 자기가 제일 잘난줄 안다. 인목의 자존심을 건드리는 것은 역린을 건드리는 것과 같다. 인목이 해당하는 동물은 호랑이다. 호랑이는 빠르고 사냥을 잘한다. 활동영역 또한 넓다. 그렇기 때문에 인목은 재물보다는 명예와 권력욕을 상징하고, 역마를 상징하기도 한다. 사주 커뮤니티..

반응형